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utually Assured Destruction
- 동맹정치
- 반접근지역거부
- 러시아
- 과거사왜곡
- 북한
- 미중경쟁
- 선출인단
- 스티븐 월트
- 남중국해
- 3불1한
- 승리연합
- 미중패권경쟁
- 북핵
- 국제정치
- 서희연구소
- 우크라이나
- 안보동맹
- 현실주의
- 국제정치이론
- 연성권력
- 미중관계
- 공격적현실주의
- 위협의 균형
- 핵무기
- 조셉나이
- 방기와 연루
- 한반도
- 미중군사력
- 국제관계
- Today
- Total
목록현실주의 (2)
서희국제문제연구소

공격적 현실주의는 시카고 대학의 존 미어샤이머가 케네스 월츠와 스티븐 월트가 제시한 방어적 현실주의의 대안으로 제안한 이론입니다. 일반적으로 현실주의 패러다임을 공유하는 이론들은 각자도생의 세계에서 국가의 생존을 중시하는데, 방어적 현실주의와 공격적 현실주의는 이 생존을 어떻게 획득할 것인가에 대한 해법에서 차이를 나타냅니다. 현실주의 패러다임은 생존이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성취될 수 있다고 보는데, 첫째가 국력을 적대적인 국가의 침략을 무찌를 수 있는 수준까지 신장시키거나 자신을 보호해 줄 동맹에 가담하는 것이고, 둘째가 성장하는 잠재적 위협국을 선제공격하여 생존에 위협이 될 만한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는 것입니다. 월츠가 국력을 강조하고 월트가 동맹을 중시하여 전자가 지니는 방어적 성격을 드러내는 반..

스웨덴과 핀란드는 각각 200여년과 60여년 동안 중립국 지위를 유지하며 서방과 러시아 사이에서 관계를 조율해 왔습니다. 그런데 이들이 이번에 북대서양 조약기구, NATO에 가입하며 중립국 노선을 포기하였는데요. 무엇이 이들의 결정에 영향을 끼쳤을까요? 오늘은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 스쿨 교수인 스티븐 월트(Stephen M. Walt)가 창시한 위협의 균형 이론에 대하여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스티븐 월트는 세력균형 이론을 정립한 신현실주의 이론의 수장이라 할 수 있는 케네스 월츠(Kenneth N. Waltz)의 제자입니다. 월츠에 따르면 세력균형은 국가들 사이의 국력이 대등한 상태를 의미하는데 이 대등한 국력 격차가 유지될 때 세계에는 평화가 유지된다고 보았습니다. 국가들이 서로를 쉽게 이길 수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