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스티븐 월트
- 동맹정치
- 러시아
- 위협의 균형
- 서희연구소
- 미중관계
- 북한
- 국제정치이론
- 안보동맹
- 국제관계
- 선출인단
- Mutually Assured Destruction
- 남중국해
- 3불1한
- 국제정치
- 북핵
- 과거사왜곡
- 반접근지역거부
- 연성권력
- 미중경쟁
- 미중군사력
- 현실주의
- 한반도
- 공격적현실주의
- 방기와 연루
- 승리연합
- 미중패권경쟁
- 조셉나이
- 핵무기
- 우크라이나
- Today
- Total
서희국제문제연구소
스티븐 월트(Stephen M. Walt)의 위협의 균형이론 본문
스웨덴과 핀란드는 각각 200여년과 60여년 동안 중립국 지위를 유지하며 서방과 러시아 사이에서 관계를 조율해 왔습니다. 그런데 이들이 이번에 북대서양 조약기구, NATO에 가입하며 중립국 노선을 포기하였는데요.
무엇이 이들의 결정에 영향을 끼쳤을까요?
오늘은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 스쿨 교수인 스티븐 월트(Stephen M. Walt)가 창시한 위협의 균형 이론에 대하여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스티븐 월트는 세력균형 이론을 정립한 신현실주의 이론의 수장이라 할 수 있는 케네스 월츠(Kenneth N. Waltz)의 제자입니다.
월츠에 따르면 세력균형은 국가들 사이의 국력이 대등한 상태를 의미하는데 이 대등한 국력 격차가 유지될 때 세계에는 평화가 유지된다고 보았습니다. 국가들이 서로를 쉽게 이길 수 없을 것이라 생각하므로, 전쟁을 하지 않을 것이라 본 것이죠. 그런데 이 이론에는 몇 가지 맹점이 존재합니다. 그 중 하나는 바로 월츠가 동맹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국가들 사이의 대등한 세력 균형은 여러 강대국이 작당하여 특정 강대국 때리기를 하거나, 중소형 국가들이 특정 강대국을 지지할 경우 무너질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월츠가 제시한 세력균형의 평화보장 메커니즘에 오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론의 신뢰성에 심각한 의문을 초래하는 논리입니다.
이에 월트는 스승의 이론을 부정하기 보다,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 고심하다가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세력균형은 강대국과 그들의 동맹이 가진 국력을 합한 결과이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월츠가 강조한 국력뿐만 아니라, 동맹의 형성과 이탈을 유발하는 변수라는 것이죠.
월츠는 이것을 "위협(threat)"이라 보았습니다.
국가들은 스스로의 안보를 위하여 국력을 증강시키기 위해 노력할 뿐만 아니라,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동맹을 맺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국가들은 맹목적으로 특정 강대국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어떤 강대국이 자신에게 해를 끼칠 것이라 생각할 경우 그들과의 동맹을 거부할 뿐만 아니라, 그것에 대항하는 반대 동맹에 가담함으로써 스스로를 지키려 한다는 것이죠.
그러므로 월트가 보기에 세력균형은 국력의 문제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동맹의 문제이며, 그 동맹을 추동하는 변수인 위협이 가장 중요한 변수라고 보았기에, 그는 이것을 "위협의 균형(Balance of Threat)"이라 이름 짓고 스승의 이론을 보완하는 차세대 세력균형 이론으로 제안한 것입니다.
스웨덴과 핀란드가 중립국이기를 포기하고 NATO에 가입한 사실은 위협의 균형 이론을 이용하면 쉽게 설명이 가능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이들이 인접국인 러시아로부터 위협을 느꼈기 때문이며, 그 위험을 스스로의 국력만으로는 대처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결과 러시아에 공동으로 맞설 동맹으로 NATO를 선택하였다고 볼 수가 있는 것이죠.
보시다시피 위협의 균형 이론은 현재까지도 특정 사례를 설명할 수 있으며, 개량을 거치며 후속 연구에도 기여하고 있기에 처음 이론이 등장한 이후 3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꾸준히 회자되고 있습니다.
만약 푸틴이 위협의 균형 이론을 알았더라면 일이 이지경까지 되도록 하였을지 의문입니다만, 러시아 또한 NATO의 동진으로 부터 위협을 느껴 격렬한 반응을 한 것이라 볼 수 있기에 그러한 의문에 대한 답은 잠시 아껴둬야 할 것 같습니다.
읽어드리는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zllkrtpB5K0
'국제정치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 미어샤이머(John J. Mearsheimer)의 공격적 현실주의(Offensive Realism) (2) | 2022.09.14 |
---|---|
방기와 연루: 동맹정치의 딜레마 (0) | 2022.09.14 |
선출인단 이론 (승리연합) (0) | 2022.09.14 |
[세계체제론] 미국이 반도체에 목숨을 거는 이유 (0) | 2022.09.13 |
상호확증파괴(MAD)가 뭔가요? : 핵무기가 주는 역설적 평화 (0) | 2022.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