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위협의 균형
- 러시아
- 조셉나이
- 북핵
- 동맹정치
- 한반도
- 공격적현실주의
- 현실주의
- 승리연합
- 국제정치
- 과거사왜곡
- 방기와 연루
- 반접근지역거부
- 국제관계
- Mutually Assured Destruction
- 우크라이나
- 서희연구소
- 남중국해
- 스티븐 월트
- 미중관계
- 미중군사력
- 연성권력
- 안보동맹
- 선출인단
- 국제정치이론
- 미중패권경쟁
- 북한
- 미중경쟁
- 핵무기
- 3불1한
- Today
- Total
목록러시아 (3)
서희국제문제연구소

금년 초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여 많은 이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대다수 국제정치학자들은 당초 이 전쟁이 일어날 것이라 생각하지 않았기에 이번 사건은 한동안 국제정치학계에서 계속 회자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국제정치학자들이 푸틴의 침공 가능성을 낮게 본 근본적인 이유는 이 전쟁이 매우 비합리적인 성격을 갖기 때문입니다. 전쟁이 가져올 경제 제재와 서방 세계와의 관계 경색, 그리고 전쟁 결과에 대한 불투명한 전망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푸틴은 전쟁을 택했습니다. 저는 이 문제가 러시아의 국내 정치적 이슈와 지도부의 낙관적 전망이 초래한 결과물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와 같이 생각한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러시아는 표면상으로 민주적 절차를 밟고 있는 것 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권위주의적..

기후변화 논쟁은 오늘만의 일이 아닙니다. 이것은 오래되었지만 여전히 악화일로를 겪고 있는 인류의 난제입니다. 기후변화는 해수면 상승, 이상 기후와 같은 현상을 통하여 우리에게 실질적인 피해를 줍니다. 그러나 이 문제는 위기라 할 수 있지만, 누가 어디에서 살고 있는가에 따라 기회로 인식되기도 합니다. 오늘 이야기 드릴 주제는 북극의 빙하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국제정치입니다. 북극은 두꺼운 빙하로 인하여 선박의 운행이 제한됩니다. 항해가 어려운 계절이 용이한 계절보다 깁니다. 북극을 뒤덮은 빙하는 서유럽에서 아시아로 향하는 물류 운송을 제약해 왔습니다. 서유럽에서 수에즈 운하를 거쳐 아시아로 넘어오는 노선은 북극을 가로지르는 노선에 비해 그 거리가 30%가량 깁니다. 긴 거리는 높은 물류비용을 의미하며 소비..

※ 이 글은 8월 14일 유튜브를 통해 선공개되었습니다. 2022년 8월 12일 미국의 외교전문지인 포린 어페어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이 러시아의 중동 외교에 악영향을 끼칠지 모른다는 흥미로운 기사가 나왔습니다. 이 기사에 따르면 그 동안 러시아는 중동의 이란과 아랍 에미리트공화국, 그리고 리비아와 같은 국가들에 대한 무기 판매를 통하여 경제적 이익도 거두고 정치적인 영향력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무기라는 것이 특수한 상품이다 보니 거래 당사자의 경제와 안보상 이익을 넘어 정치적인 유대관계가 만들어질 수 있는데, 그 동안 러시아가 이를 활용하여 중동에서 이익을 챙겨왔던 것입니다. 이는 중동 지역의 안보 상황을 예의 주시 해 오던 미국에게 눈엣가시였는데요, 최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하는 과정에서 막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