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국제정치
- 공격적현실주의
- 위협의 균형
- 미중군사력
- 3불1한
- 우크라이나
- 서희연구소
- 국제정치이론
- 북핵
- 미중패권경쟁
- 핵무기
- 남중국해
- 미중관계
- 국제관계
- 북한
- 현실주의
- 스티븐 월트
- 러시아
- 승리연합
- 과거사왜곡
- 방기와 연루
- 조셉나이
- 미중경쟁
- 안보동맹
- 한반도
- 선출인단
- 연성권력
- Mutually Assured Destruction
- 동맹정치
- 반접근지역거부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5)
서희국제문제연구소

미중 무역전쟁에 더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하여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냉전이 다시 시작되는 것이 아니냐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냉전은 과거 미국과 소련이 체제의 우월성을 두고 벌인 경쟁을 의미하며, 양 강대국 간에 직접적인 무력 충돌이 최대한 자제되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합니다. 현재 진행 중인 미중 갈등, 그리고 서방과 러시아의 갈등 또한 직접적인 무력충돌 보다는 대리전이나 경제적 수단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닙니다. 그러므로 이를 냉전에 비유하는 세간의 인식에는 분명 어느정도 타당성이 있습니다. 한편으로 두 갈등에는 차이도 존재합니다. 과거 미국과 소련은 군사, 경제, 이념의 영역에서 철저히 분리되어 있었습니다. 서독이 동독과 소련을 상대로 했던 동방무역 같은..

공격적 현실주의는 시카고 대학의 존 미어샤이머가 케네스 월츠와 스티븐 월트가 제시한 방어적 현실주의의 대안으로 제안한 이론입니다. 일반적으로 현실주의 패러다임을 공유하는 이론들은 각자도생의 세계에서 국가의 생존을 중시하는데, 방어적 현실주의와 공격적 현실주의는 이 생존을 어떻게 획득할 것인가에 대한 해법에서 차이를 나타냅니다. 현실주의 패러다임은 생존이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성취될 수 있다고 보는데, 첫째가 국력을 적대적인 국가의 침략을 무찌를 수 있는 수준까지 신장시키거나 자신을 보호해 줄 동맹에 가담하는 것이고, 둘째가 성장하는 잠재적 위협국을 선제공격하여 생존에 위협이 될 만한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는 것입니다. 월츠가 국력을 강조하고 월트가 동맹을 중시하여 전자가 지니는 방어적 성격을 드러내는 반..

우크라이나와 대만 리스크로 인하여 미국의 안보보장 여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미국이 친서방 국가의 안보 문제에 실제 개입할지 여부는 그 상황이 닥치지 않고서는 알기가 힘듭니다. 더욱이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에서 미국이 보인 미지근한 태도는 동맹으로부터 의구심을 자아내기에 충분합니다. 이 글에서는 미국이 왜 이런 태도를 보이는 것인지 그 이유를 알아보려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 오늘의 주제는 한국의 중립적 태도를 설명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 대학교 정치학과의 글렌 스나이더 교수는 1997년 자신의 저서인 "동맹 정치(Alliance Politics)"에서 동맹이라는 것이 외부의 적을 상대하는 것 뿐만 아니라 동맹 내부에 존재..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며 러시아의 경제 전망에 대한 엇갈린 예측이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의 실물경제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전쟁은 자원의 생산이 아닌 소비를 주로 하는 활동으로 장기화될 경우 국가의 경제에 큰 부담을 안깁니다. 오늘 여러분들과 함께 나누어 볼 내용은 과거 소련의 붕괴에 영향을 끼친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1979년 소련은 전쟁이 단기간에 끝날 것이라는 예측 하에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였습니다. 아프가니스탄은 "중동의 십자가"로 불리며, 소련이 인도양을 통해 해상진출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지정학적 관문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녔습니다. 그래서 당초 소련은 아프가니스탄에 괴뢰정부를 세워 통치하려 하였으나, 상황이 여의치..